팝업레이어 알림

Radiology Digest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메인비주얼01 메인비주얼02 메인비주얼03



최신글

HOT ISSUE > more

2025년 폐암 TNM 병기 체계 제9판 소개

2025년 폐암 TNM 병기 체계 제9판 소개

고려의대 고려대안암병원 영상의학과 황성호 교수

요약 현재 전 세계에서 폐암은 암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된다. 이러한 폐암의 정확한 병기 판단은 성공적인 치료와 환자의 예후 개선에 필수적이다. 폐암 병기는 전통적으로 TNM 병기 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국제폐암연구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IASLC)는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2025년 1월에 공 식 적용된 TNM 병기 체계의 9번째 개정판(TNM-9)을 발표하였다. 기존체계와 비교하였을 때 TNM-9에서의 주요 변경 사항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종격동 림프절(N2) 범주는 단일 병소(N2a)와 다중 병소(N2b)로 세분화되었다. 둘째, M1c 전이 병변은 단일 기관계(M1c1)와 다중 기관계(M1c2)로 세분화되었다. 따라서 폐암 의 진단과 치료에 참여하는 영상의학전문의는 TNM-9에 도입된 주요 변경 사항을 이해하고 폐암의 임상 병기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어야 하겠다.  주요 개정 사항  1. N2 범주는 동측 종격동 및/또는 기관분기 하부 림프절(subcarinal lymph node)로의 전이를 포함하며, TNM-9에서는 N2 범주가 단일 병소(N2a)와 다중 병소(N2b)로 세분화 된다. 2. 새로운 N2 하위 범주는 IASLC 림프절 위치 기준에 기반을 두며, 림프절 수의 나열은 신뢰 할 수 없기 때문에 림프절 수를 기준으로 하지 않는다. 3. TNM-9에서 다중 폐외 전이 병변(M1c)은 단일 기관계(M1c1)와 다중 기관계(M1c2)로 세분화된다. 서론  폐암은 전 세계적으로 암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가장 높은 사 망률을 차지한다. 새로 진단된 폐암 환자의 치료 방식은 병기 결정에 따라 달라지며, 병기 분류는 환자 생존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폐암 병기 분류는 종양의 해부학적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체계로, 암의 해부학적 범위에 대한 표준화된 명명법이다. 이러한 병기 분류에 기반한 명확하고 일관된 의사소통은 치료 전 략을 결정하는 데 필수적이며, 특히 다학제적 논의에서 임상시험 데이터에 기반한 병기 분류 는 치료 후 결과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된다. 병기 분류 체계는 종양의 주요 범위를 T, 림프절 침범을 N, 원격 전이를 M으로 설명한다. 병기 분류 체계의 모든 개정 사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에 기반해야 하며, 임상적으로 도 중요한 의미를 가져야 한다. 또한, TNM 병기 체계는 지나치게 복잡하지 않으면서 임상 병기와 병리학적 병기 모두에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한다. 임상 병기(접두사 “c”로 표시, c-stage 또는 cTNM)는 치료 시작 전에 종양의 해부학적 범위를 반영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영상 검사는 임상 병기의 주요 구성 요소이므로, 폐 암 병기 분류 개정의 세부 사항을 이해하는 것은 영상검사의 정확하고 효율적인 해석을 위해 필수적이다. 2025년 1월부터 공식 적용된 TNM-9은 IASLC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정의되었으 며, 미국 암 공동위원회(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에서 공식적 으로 승인되었다. 이에 폐암 환자의 흉부영상 해석과 관련하여 임상 병기에 중점을 두고 TNM-9 폐암 병기 설정 제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T 병기 기술  T 병기 기술은 원발성 종양의 특성을 정의하고, 종양의 크기와 국소 침습 정도를 포함한 다. TNM-8에서는 T 병기에 대한 다양한 변화가 도입되었으나, 최근 데이터 분석에서는 TNM-8의 T 병기에 대한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이번 TNM-9에서는 기존 T 병기 기술을 유지한다. T 병기는 주로 종양 크기에 의존하고, 종양 크기가 1 cm씩 증가할 때마다(1-5 cm) 예후 가 악화된다. 따라서 CT 영상을 최적화하여 종양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T 병기 평가를 위한 CT에서는 sharp 필터(filter)가 적용된 폐창(lung window) 설정을 사용하고, 단면 두께가 1 mm 이하로 연속 촬영된 CT 영상을 이용한다. 이러한 조건은 종 양의 성분(고형, 부분 고형, 순수 간유리음영 결절[pure ground-glass opacity nodule] 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함이다. 원발성 종양의 고형 부분은 축상면, 시상면 또는 관상면 중 어느 면에서든 가장 긴 직경을 기록한다. 부분 고형결절(part-solid nodule)의 경우, 고형 성분의 가장 긴 직경을 기준으로 임상 T 병기를 결정한다. 순수 간유리음영 결절 에서는 전체 크기가 병리학적 상태를 더 잘 반영하기 때문에 TNM 병기 설정에서 전체 직경 을 측정한다. 병리학적 데이터는 고형 성분이 비고형 성분보다 더 강력한 예후 인자임을 보 여주지만, 비고형 성분이 큰 부분 고형결절은 높은 재발 위험 또는 더 나쁜 예후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TNM-9의 권고사항에서 부분 고형결절에 대해 고형 성분만 T 병기 에 반영하고 비고형 성분을 포함하는 전체 병변 크기를 판독 보고서에 명시할 것을 추천 한다. T1 종양은 가장 큰 크기가 3 cm 이하이고, 폐 또는 내장 흉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주기 관지(엽 기관지 이상)에 근위부 침범이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T2 종양은 내장 흉막의 침범, 무기폐 또는 폐문까지 확장되는 폐쇄성 폐렴을 동반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3 종양은 크기 가 5 cm를 초과하지만 7 cm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흉벽, 심막, 횡격막 신경 침범 또는 동일 엽 내 위성 종양 결절과 같은 특정 해부학적 특징을 보이는 종양이다. T4 종양은 크기가 7 cm를 초과하거나 횡격막, 종격동, 심장, 주요 혈관, 기관(trachea), 기관지, 되 돌이후두신경(recurrent laryngeal nerve), 식도, 척추 등을 침범하는 경우를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동일 폐엽에 있으나 주 종양과 다른 엽에 위치한 종양 결절 또한 T4 범주에 포함 된다. 새로운 N 병기 기술 림프절 질환은 폐암 병기 설정에서 중요한 예후 요인으로, 치료 결정에 핵심적인 기준이 된다. 과거에는 N 병기가 IASLC 림프절 지도를 기반으로 14개의 해부학적 위치로 정의되 었으며, 침범된 림프절 수는 고려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CT 영상을 활용한 폐암 병기 설 정에서 림프절 수를 세는 것은 일관성이 부족하여 임상 병기 설정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병리학적 병기 설정에서도 림프절 검체 채취나 수술 절제 과정에서 림프절이 파편화될 수 있 어 림프절 수가 과대 평가되는 경우가 많아 정확성이 떨어진다. 임상 병기 설정에서 N 병기(표 1)를 판단할 때 중요한 점은 주 종양과 관련하여 특정 림프 절이 동측 림프절인지 반대측 림프절인지를 정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관의 좌측 외측 벽이 기준점으로 사용되며, 이는 좌 우 기관 주위 림프절(station 2 및 4)을 나누는 중간선 역할을 한다. 또한, 기관 분기하부 림프절(station 7)은 주 종양이 우측 폐에 있든 좌측 폐 에 있든 동측 림프절로 간주된다(그림 1). 한편, IASLC 림프절 지도에 포함되지 않은 흉부 림프절(내유선, 전방 횡격막, 중간 횡격막, 늑간 림프절)은 주위 림프절 침범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원격 전이로 분류된다. 표 1. TNM-9 병기 체계: 림프절 병기 TNM-9에서는 N2 병기에 대한 새로운 하위 분류가 추가되어 단일 병소(N2a)와 다중 병 소(N2b)로 세분화되었다. 이는 N2a가 N2b에 비해 임상적, 병리학적 분류 모두에서 더 양 호한 예후를 보였기 때문이다. 새로운 N2 하위 분류는 침범된 것으로 의심되는 IASLC 림 프절 station의 수를 기반으로 하며, 해당 림프절 station에 몇 개의 림프절 병변이 있는지 는 상관하지 않는다. 그림 1. 폐선암이 확진된 55세 남성 환자  관상면 CT 영상에서 종격동 내 크기가 증가된 다수의 림프절 병변들이 보이고, 이들은 우측 기관 주위 림프절(station 2와 4)과 분기하부 림프절(station 7)에 위치하여 임상병기 N2b로 평가된다. 새로운 M 병기 범주  TNM-8이 발표된 이후 M1 병기 환자에 대한 치료는 발전하였으며, 이는 주 종양 및 전 이 병변을 대상으로 한 국소 절제 치료와 표적 치료 또는 면역치료를 결합한 방법으로 가능하 다. 그럼에도 TNM-9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 전이 병변의 수가 많을수록 예후가 나빠진 다는 사실이 다시 확인되었으며, 특히 다발성 전이를 가진 환자들 중에서도 더 많은 장기 체 계가 관여된 경우 예후가 더욱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IASLC는 기존의 M0, M1a, M1b, M1c 분류를 유지하면서도 M1c에 새로운 하위 분류를 추가하였다(표 2). TNM-9에서는 다발성 폐외 전이 병변(M1c)을 단일 장기 내 다발성 전이(M1c1)와 여러 장기 내 다발성 전이(M1c2)로 세분화하였으며, 통계적 생존율 분석에서 M1c1이 M1c2보 다 일관되게 더 양호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3). 또한, 전이 병변이 침범 한 장기를 정의할 때 신장이나 부신처럼 쌍으로 이루어진 장기는 하나의 단일 장기 체계로 간 주하고, 골격처럼 신체 전체에 분산된 장기 역시 하나의 단일 장기 체계로 간주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결론  효과적이고 정확한 병기 판단은 다학제적 논의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요소이다. 폐암의 병기 설정 역시 환자 정보를 바탕으로 예후를 추정하고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폐암 TNM-9 병기 체계의 주요 강점은 병리학적 병기만큼 영상 기반의 임상 병 기 역시 환자 치료와 예후 결정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기준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따 라서 영상의학전문의는 폐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TNM-9 병기 분류 체계의 개정된 내용을 철저히 이해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회원로그인

PICTORIAL ESSAY > more

췌장 낭성 병변의 영상 평가

췌장 낭성 병변의 영상 평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이승수 교수

서론  췌장 낭(pancreatic cyst)은 전체 인구의 약 15%에서 발견되는 매우 흔한 병이다. 췌장 낭은 고령에서 더 흔히 발견되는데, 최근 발표된 메타연구에 따르면 40세 미만의 유병률은 2% 정도이지만 80세 이상에서는 유병률이 38%로 보고된 바 있다[1]. 췌장 낭의 평가를 위한 영상검사로는 조영증강 검사와 MR 담췌관조영술(MR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을 포함한 MRI가 가장 선호된다. MRI는 CT에 비해서 췌장 낭 발견의 민감도가 높 고, 췌장 낭의 형태학적 분석에 유리하며, 췌관과 췌장 낭의 연관성을 평가하는데도 더 우수 하다[2-4]. 췌장 낭은 비 종양성 낭, 양성 낭종, 악성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낭종 및 악 성 종양까지 다양한 질환을 포함하므로 영상검사를 통한 감별진단과 추적관찰이 중요하다. 이 종설에서는 췌장의 낭으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질환들의 영상 소견을 논해 보고자 한다. 장액성 낭종(Serous Cystic Neoplasm, SCN) SCN은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3배 정도 더 흔하고, 평균 발생 연령은 50-60대이다. 단방 성 낭, 비교적 크기가 큰 낭으로 이루어진 대방성(macrocystic) 낭, 크기가 작은 수많은 낭 으로 이루어진 소방성(microcystic) 낭 등 다양한 모양을 보일 수 있다. 큰 낭과 미세 낭이 섞인 모양을 보일 수도 있고, 중심에 반흔 조직과 함께 석회화가 동반되기도 한다(그림 1). SCN은 대체로 둥근 낭이 모여 있는 형태로 보이므로 외연이 올록볼록한(lobulated) 특징 이 있다. SCN을 이루는 낭의 크기가 매우 작은 경우 동맥기 영상에서 고혈관성 조영증강을 보여 신경내분비종양(neuroendocrine tumor, NET)과 같은 고형성 종괴로 오인될 수 있다(그림 2).   점액성 낭종(Mucinous Cystic Neoplasm, MCN) MCN은 여성에서만 발생하며, 호발 연령은 30-40대이다. 대체로 외연이 둥근 모양의 낭종으로 나타나고 췌장의 꼬리 부분에 흔히 발생한다. 내부에 격막을 형성할 수 있다. 악성 종양(mucinous cystadenocarcinoma)이 동반된 경우 고형성 종양이 낭종 내부에 관찰 될 수 있으며, 악성화는 4 cm 미만의 낭종에서는 드물다(그림 3).  췌장관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IPMN) IPMN은 남성과 여성에서 모두 발생하지만, 남성에서 조금 더 흔하다. 진단 당시 평균 연 령은 50-70대이고 고령에서 더 흔하다. IPMN은 췌관을 따라 발달하고 뮤신을 생성하는 유두상 종양에 의한 질환으로, 침범되는 췌관의 종류에 따라 가지관(branch duct type IPMN, BD-IPMN), 주관(main duct type IPMN, MD-IPMN) 및 혼합형(mixed type)으로 나뉜다(그림 4). BD-IPMN의 경우 단발성 및 다발성 낭으로 보일 수 있는데, 다발성 낭으로 보이는 경우 개별 낭의 모양이 다양한 다형성(pleomorphic)을 특징으로 한 다. BD-IPMN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소견은 낭과 주췌관의 연결성이다. 그 외 낭의 다발 성(multiplicity)도 BD-IPMN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IPMN은 췌장암으로 진행이 가능하므로 IPMN 진단 시 영상검사를 통해 악성의 위험성을 판단해야 한다. 여러 가이드라인에서 악성 가능성 판정에 도움이 되는 소견들을 제안하고 있 는데[3, 4], 이 중 국제췌장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ancreatology)에서 제안한 걱정스러운 소견(worrisome features)과 고위험 소견(high-risk stigmata)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표 1) [4]. IPMN의 진단과 추적관찰을 위한 영상 검사의 판독에 있어서, 이런 소견들을 통한 IPMN의 악성 가능성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IPMN과 연 관되어 발생하는 췌장암은 IPMN 병변의 내부가 아닌 주변 췌장 실질에서 발생할 수 있으므 로, IPMN 이외의 췌장 실질에도 이상 소견이 없는지 주의가 필요하다(그림 5). 일본에서 발 표된 IPMN 추적관찰 코호트 연구 결과에 따르면, IPMN 환자에서 췌장암이 발생하는 경우 IPMN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IPMN과 무관한 췌장의 다른 부위에서 생기는 경우가 거의 비 슷한 비율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IPMN으로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IPMN 이외의 췌장 다른 부위에 대한 평가가 누락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5, 6].    낭종으로 보이는 고형성 종양 고형성 종양 중 일부는 종양의 낭성 변화 또는 괴사로 인하여 췌장 낭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종양은 NET와 고형 가유두상 종양(solid pseudopapillary neoplasm, SPN)이다. 췌장 낭에서 고형성 종양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은 일반적인 낭 종에 비해 두껍게 조영증강되는 낭종 벽, 낭종의 내벽 두께가 불규칙한 소견 등이 있다 (그림 6). 드물게 췌관선암(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이 낭성 종 양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병리학적으로 종양 샘(tumor gland)이 크게 확장되어 낭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로 큰 관 변이(large duct variant)라고 부른다. 대체로 고형성 종 양과 낭성 종양이 섞여 있는 소견을 보이고, 낭종의 격막이나 벽이 많이 두껍다는 점이 일반 적인 낭종과 구별되는 점이다(그림 7). 췌장 낭의 추적 검사 췌장의 낭은 양성에서 악성을 아우르는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 검사를 통한 감별진단이 치료 방침 결정에 매우 중요하다. 췌장 낭의 상당수에서 특히 크기가 작은 췌장 낭의 경우, 특징적인 영상소견이 동반되지 않아 질환을 특정하기 힘든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내시경 초음파검사, 췌장 낭의 세포검사, 조직검사 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크기가 작은 췌장 낭으로 악성을 의심할 다른 소견이 없다면 추적 검사를 통한 재평가가 도움이 된 다. 췌장에 IPMN이 있는 환자는 IPMN 또는 췌장 다른 부위에서 췌장암이 발생할 위험이 일반인의 10배 정도로 알려져 있다[6, 7]. 또한 췌장암의 위험은 평생 지속되므로 환자의 건강상태가 췌장 수술을 하기 힘든 상태가 아니라면 평생 췌장암에 대한 감시 검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Vilela A, Quingalahua E, Vargas A, et al. Global Prevalence of Pancreatic Cystic Lesions in the General Population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24;22(9):1798-1809.e6 2. Elta GH, Enestvedt BK, Sauer BG, Lennon AM. ACG Clinical Guidelin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ncreatic Cysts. Am J Gastroenterol. 2018;113(4):464-479. 3. European Study Group on Cystic Tumours of the Pancreas. European Evidence-Based Guidelines on Pancreatic Cystic Neoplasms. Gut. 2018;67(5):789-804. 4. Ohtsuka T, Fernandez-Del Castillo C, Furukawa T, et al. International Evidence-Based Kyoto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of the Pancreas. Pancreatology. 2024;24(2):255-270. 5. Oyama H, Hamada T, Nakai Y, et al. Clinical Trajectory of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Progressing to Pancreatic Carcinomas during Long-Term Surveillance: A Prospective Series of 100 Carcinoma Cases. J Gastroenterol. 2023;58(10):1068-1080. 6. Oyama H, Tada M, Takagi K, et al. Long-term Risk of Malignancy in Branch-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Gastroenterology. 2020;158(1):226-237e5. 7. Ohno E, Hirooka Y, Kawashima H, et al. Natural History of Pancreatic Cystic Lesions: A Multicenter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for Evaluating the Risk of Pancreatic Cancer. J Gastroenterol Hepatol. 2018;33(1):320-328.

RECENT ARTICLE UPDATE

> more

2025 4월 국제학회일정

  • SUN MON TUE WED THU FRI SA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일정제목 날짜
    UltraCon 2024(American Institute of Ultrasound in Medicine) 04/06/2024 ~ 04/10/2024
    JRS 2024(Japan Radiological Society) 04/11/2024 ~ 04/15/2024
    SBI 2024 (Society of Breast Imaging) 04/11/2024 ~ 04/14/2024
    SPR 2024 (Society for Pediatric Radiology) 04/13/2024 ~ 04/15/2024
    SAR 2024 (Society of Abdominal Radiology) 04/14/2024 ~ 04/19/2024
    JRS 2025 (Japan Radiological Society) 04/10/2025 ~ 04/13/2025
    ARRS 2025 (American Roentgen Ray Society) 04/27/2025 ~ 05/01/2025
    SPR 2025 (Society for Pediatric Radiology) 04/07/2025 ~ 04/11/2025

2025 5월 국제학회일정

  • SUN MON TUE WED THU FRI SA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일정제목 날짜
    2024 ISMRM & ISMRT Annual Meeting (International Society for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International Society for MR Radiographers & Technologists) 05/04/2024 ~ 05/10/2024
    ARRS 2024(American Roentgen Ray Society) 05/05/2024 ~ 05/09/2024
    AFSUMB 2024(Congress of the Asian Federation of Societies for Ultrasound in Medicine and Biology 05/09/2024 ~ 05/11/2024
    AMSIG 2024 (Australasian Musculoskeletal Imaging Group) 05/04/2024 ~ 05/05/2024
    ESTI 2024 (European Society of Thoracic Imaging) 05/09/2024 ~ 05/11/2024
    ASNR 2024 (American Society of Neuroradiology) 05/18/2024 ~ 05/22/2024
    ESGAR 2024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and Abdominal Radiology 05/28/2024 ~ 05/31/2024
    2025 ISMRM & ISMRT Annual Meeting (International Society for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International Society for MR Radiographers & Technologists) 05/10/2025 ~ 05/15/2025
    WFUMB 2025 (World Federation for Ultrasound in Medicine and Biology) 05/29/2025 ~ 06/01/2025
    AMSIG 2025 (Australasian Musculoskeletal Imaging Group) 05/03/2025 ~ 05/04/2025
    ESGAR 2025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and Abdominal Radiology) 05/13/2025 ~ 05/16/2025
    ASNR 2025 (American Society of Neuroradiology) 05/17/2025 ~ 05/21/2025

2025 6월 국제학회일정

  • SUN MON TUE WED THU FRI SA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일정제목 날짜
    ESPR 2024 (European Society of Pediatric Radiology) 06/03/2024 ~ 06/07/2024
    ESSR 2024 (European Society of Musculoskeletal Radiology 06/06/2024 ~ 06/08/2024
    ESPR 2025 (European Society of Pediatric Radiology) 06/02/2025 ~ 06/06/2025
    ESSR 2025 (European Society of Musculoskeletal Radiology) 06/19/2025 ~ 06/21/2025

그누보드5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72길 29, 3층 메디칼업저버 / TEL : 02) 3467-5482

Copyright © Radiology Digest All rights reserved.